ECU(Electronic Control Unit): 각종 전자장치들을 제어하는 장치
- EGN ECU, ABS ECU( Anti-lock Breaking System), 멀티미디어 ECU, 트랜스미션 ECU, 안전관련 ECU 등 여러 개의 ECU가 존재.
- 보통 70~100개 정도의 ECU가 탑재되어 있음. 테슬라의 전기는 4개 이하. ECU가 많을수록 전체적으로 제어하기 어려워짐. 현대차도 4개의 최상위 ECU로 제어할 예정.
- MCU는 Micro Processor를 반드시 포함해야 하지만 ECU는 그렇지 않을 수 있음. 크게 보면 MCU도 ECU의 범주에 들어감
- 엔진 제어 장치(Engine Control Unit, ECU)를 지칭하기도 함. 기계식 기화기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전자제어를 통한 엔진 제어 장치로서 자동차에 첫 등장함. 공연비/점화 타이밍/밸브타이밍을 제어하여 연비와 출력을 늘리고 배기가스량을 저감함
TCU(Transmition Control Unit): 엔진장치, 제동장치 제어 등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. ECU 중 하나
- 전자기적으로 돌아가는 자동변속기를 컨트롤
- Input Parameter: 언제 그리고 어떻게 변속을 할지 결정하는데 사용하는 센서들의 값
- TPS(Throttle Position Sensor, 스로틀 포지션 센서)
- TCU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중 가장 핵심적인 센서
- 스로틀 밸브가 열려 흡입하는 공기가 많아지면 TPS가 이것을 파악, 흡기량에 맞춰 엔진에 연료를 분사.
- 반대로 스로틀 밸브가 닫히면 흡입 공기량이 감소하고 그만큼 연료도 조금만 분사.
- 최근 Driven by wire 기술의 발달로 이 정보가 ECU와 TCU에게 공동으로 공급. 컴퓨터에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람보다 정확하게 스로틀 밸브를 조작
- 전기차의 경우 eRPS(e-Motor Rotor Position Sensor)로 TPS가 대체된다고 생각하면됨
- TFT(Transmission Fluid Temperature Sensor, 미션오일 온도 센서): 트랜스미션 내부의 유체인 미션오일 온도를 측정. 온도가 너무 높다면, 트랜스미션은 기어의 단수를 내려 온도를 낮춤.
- VSS(Vehicle Speed Sensor, 차량 속도 센서): OSS(Output Speed Sensor)라고도 함. 차량의 속도를 알려줌. TCC(터빈 스피드 센서), WSS(휠 스피드 센서)값을 비율로 나타내서 속도 값을 인식. 센서 값을 기반으로 TCU는 언제 기어 변환이 일어나야 하는지 결정
- WSS(Wheel Speed Sensor): 차량의 바퀴 회전수를 측정하여 차량의 실제 스피드를 측정함.
- TSS(Turbine Speed Sensor, 터빈 스피드 센서):ISS(Input Speed Sensor)라고도 함. 배기가스의 유량을 측정하여 속도를 측정. 크랭크 샤프트, 캠샤프트의 속도를 측정하여 속도를 측정함.
- BLS(Brake Light Switch): 차량이 내리막길에 접어들때,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지 않아도 내리막길을 감지하고 자동적으로 브레이크 기능을 좀 더 활성화할때 사용되는 센서
- TCS(Traction Control System): 도로의 주행 환경을 체크하여 기어를 선제적으로 변화시킬때 사용되는 센서
- 그 외에 BLS(Brake Light Switch), Switch 등이 있음.
- TPS(Throttle Position Sensor, 스로틀 포지션 센서)
- Output Parameter: TCU가 취합한 정보를 기반으로 내린 명령을 수용하는 센서들의 값. 이 값들이 차량에 변화를 줌
- Shift Lock(시프트락): 솔레노이드를 통해 차량의 기어 레버를 고정시켜, 갑작스러운 기어의 변경을 잠금
- Shift Solenoids(시프트 솔레노이드): 전자기 솔레노이드를 기반으로 기어를 변동시키는 역할
- PC 솔레노이드(Pressure Control Solenoids, 압력 컨트롤 솔레노이드): 기어변속을 위해 미션오일과 같은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. 다양한 압력라인을 이용하여 솔레노이드의 컨트롤을 통해 정확한 유체의 압력을 결정하는 역할
- TCC 솔레노이드(Torque Converter Clutch Solenoid, 토크컨버터 클러치 솔레노이드): 자동변속기에서 사용되는 장치로서 엔진과 유성기어(planetary gear) 사이에서 유체커플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를 제어, 엔진의 구동력을 변속기 출력축에 고정시킬지를 제어함. 변속축을 엔진부에 마찰로 결속하여 자동변속기 고유의 동력손실을 상쇄시킬 수 있음
솔레노이드란?
총평
- 연비를 올리려면 TCU를 잘 활용하는것이 중요하지 않을까? 결국 최적의 조건을 찾아서 연비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
- 통신이 중요하지만 결국 어떤 데이터를 주고 받는건지? 데이터의 형태와 종류는 어떻게 되는지? 어떤 것이 중요한 데이터이고 어떤 게 부차적인지? 데이터의 크기는 얼마나 큰지? 데이터의 실시간성이 얼마나 보장되어야 하는지에 중점을 두고 전기/전자 아키텍쳐의 전반적인 부분을 파악할 것
- 결국 관건은 SDV의 소프트웨어 개발에 CAN 통신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가 관건 아닌가?
'SDV 조사자료 > 통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VN(In-vehicle network)[한국어 해석 및 정리] (1) | 2024.08.12 |
---|---|
IVN(In-vehicle network)[원문 발췌] (0) | 2024.08.12 |
CAN통신(2) (0) | 2024.07.09 |
CAN 통신(1) (0) | 2024.07.08 |